
안녕하세요
보상 전문가 손해사정사 박성일입니다.
조현병은 환청이나 망상, 현실감각의 왜곡 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사고 능력이 저하되는 중증 정신질환입니다.
이러한 질병을 앓던 피보험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경우, 단순히 고의적인 행동이 아닌 질병에 따른 사고로 보아야 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하지만 보험사는 대부분 이를 고의사고로 간주하고, 사망보험금 지급을 거절하는 경우가 많죠.
다행히 약관에는 “심신상실 등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자신을 해한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보험금을 지급한다는 조항이 존재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심신상실 입증과 관련된 핵심 조건과 함께, 이러한 분쟁에 대응하는 전략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일상생활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사고 전 가족과 식사하거나, 대화를 나누는 등 외형상 평온했던 모습만으로 정신이 온전하다고 판단하는 건 무리입니다.
조현병 환자는 외형은 정상처럼 보이지만 내면에서는 심각한 망상이나 환청에 시달리고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병력, 진료기록, 주치의 소견 등 입증자료를 통해 겉모습과 내면의 차이를 설명해야 합니다.
사고 경위는 충동성 여부 판단의 핵심입니다
보험사는 사고 장소가 자택에서 멀거나, 자해 수단을 미리 준비한 점을 들어 계획적 행동이라 주장합니다.
그러나 조현병 환자는 비현실적인 사고 흐름에 따라 행동할 수 있어, 일련의 준비가 있다고 하더라도 고의성으로만 해석하긴 어렵습니다. 실제로 법원에서도 이러한 맥락을 반영한 판결들이 존재합니다.
보험사의 자문의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닙니다
보험사는 자문의사의 판단을 근거로 “판단력이 있었다”라고 단정하며 면책을 주장합니다.
하지만 대부분 자문은 서류만 보고 결정되는 형식적 의견에 가깝고, 환자의 실제 상태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합니다.
이에 대해 주치의 소견과 정황증거로 반박할 수 있으며, 이는 유족이 반드시 준비해야 할 주요 전략 중 하나입니다.
퇴원 직후 사고가 발생했다면 중요한 입증 요소입니다
입원 권고를 받았거나 약물 복용량을 조절한 직후 사망사고가 발생한 경우, 이는 정신질환 경과에 의한 충동적 사고로 해석될 여지가 큽니다.
사고 시점과 치료 이력을 연결해, 질병의 악화 과정 속에서 발생한 사고임을 입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심신상실 입증은 전문가의 손길이 필요한 과정입니다
보험금 분쟁에서 ‘심신상실’이라는 개념은 약관 해석과 의학적 자료가 함께 필요합니다. 일반 소비자가 혼자서 이를 증명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따라서 손해사정사의 논리적인 손해사정서와 자료 분석, 관련 판례 등을 바탕으로 대응을 준비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마무리하며
결론적으로, 조현병 자살 사고는 약관상 면책 조항이 적용될 수 있지만, 명확한 의학적 근거와 정황을 통해 예외 조항에 해당함을 입증할 경우 사망보험금 전액을 수령한 사례도 많습니다.
감정적인 대응보다, 분석된 전략과 정밀한 자료 제출을 통해 차분히 준비하셔야 합니다.
혼자서 모든 과정을 감당하기엔 무리가 큽니다. 정신질환과 관련된 사망 사고는 더욱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구조화된 대응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핵심입니다.
더 이상 혼자 고민하지 마세요. 아래 번호로 연락 주시면, 저희가 끝까지 함께하며 해결책을 찾아드리겠습니다.
무료 상담
📞 010-2754-1552

'상해, 후유장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흉추압박골절 후유장해보험금 보상받는 방법과 대응 전략은 (1) | 2025.06.09 |
|---|---|
| 외상성뇌출혈 후유장해보험금 보상을 어떻게 받아야 할지 모르시겠다면 (1) | 2025.05.30 |
| 하반신마비 후유장해 평가, 전략에 따라 보험금 보상은 완전히 달라집니다 (0) | 2025.05.07 |
| 팔꿈치골절 후유장해 인정받고 제대로 보험금 청구하는 방법 총정리 (1) | 2025.04.28 |
| 손가락절단 후유장해보험금, 실제 보상받으려면 이 3가지는 꼭 확인하세요 (0) | 2025.04.17 |